본문 바로가기

연금 재테크

노후 월 300만원 만들기, 현실 시뮬레이션

40대가 접어들면서, 본격적으로 노후의 생활이 현실로 다가오는 걸 느껴요.

착실하게 회사 생활을 한 직장인들은 국민연금과  노령연금이 베이스가 될 수 있는데요.

프리랜서나 자영업자, 혹은 알바를 많이 한 사람들은  오래 납부를 못하거나, 납입금액이 적거나 할 수 있죠.

현실을 점검해 보면, 월 300만원이 진짜 충분할까?라는 생각이 들어요.

 

2인 기준 식비 70만원, 관리비+공과금 30만원, 건강보험료 25만원, 통신비+교통비 20만원, 여가비+문화비 30만원, 예비비 30만원, 경조사/기타 비용은 25만원 정도로 생각한다면 총지출은 230만원~300만원으로 계산이 되요.

결론적으로 평범한 생활 유지 가능한 금액이지만 풍족하진 않죠.

노후 월 300만원 만들기
노후 월 300만원 만들기

그렇다면 월300을 어디서 만들지?

 

시뮬레이션 A. 국민연금만 믿어볼까?

  • 예상 수령액 : 월 100~120만원
  • 부족액 : 약 180~200만원

시뮬레이션 B. 개인연금 + 국민연금 조합

  • 국민연금 : 120만원
  • 개인연금 : 50만원
  • 부족액 : 130만원

시뮬레이션 C. 배당금 + 임대소득 + 연금

  • 국민연금 : 120만원
  • 개인연금 : 50만원
  • 배당소득 : 50만원
  • 임대소득 or 파이프라인 : 80만원

 

합계 : 월 300만원 가능!


지금부터 할 일 - 당신의 "노후 포트폴리오" 점검하기

준비항목 현재상황 목표
국민연금 가입중 최대한 오래, 많이
개인연금 있음 or 없음 최소 월 50만 원 이상 설계
배당주 투자 없음 월 50만 원 배당 가능 종목 준비
임대 or 파이프라인 없음 월 50~60만 원 소득원 확보

 

국민연금 + 개인연금 + 배당 + 파이프라인 = 현실 가능한 조합!

 


만약 국민연금이 적은 사람은?

국민연금이 적은 사람은 어쩔 수 없죠.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적극적으로 준비해야죠!

국민연금을 월 40만원 정도 책정하고, 개인연금이 없다면 지금이라도 준비해서 월 50만원정도로 준비해요.

배당소득은 고배당ETF나 우량주 위주로 50만원으로 계획을 세우고, 국민연금이 적은 대신, 원룸 or 임대소득을 받을 수 있도록 포트폴리오를 준비해요. 


가장 무서운 말은 이것

"지금은 돈이 없어서 못 해요."

→ 노후에는 더 없다
→ 지금이 제일 젊고, 제일 벌 수 있다.


국민연금 적은 사람의 생존 마인드셋

  1. 한 달 10만원 투자부터 시작
  2. 지금 돈 안 되는 일? 나중엔 돈 될 수 있다
  3. 소액으로 수익구조 실험
  4. 나만의 월급 통장 여러 개 만들기
  5. '노동소득' 아닌 '자산소득' 비중 늘리기

이전 포스팅에 "월10만원 ETF 자동투자 추천" 글을 썼는데요.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하세요.


국민연금이 적은 사람들은 "작은 돈이 계속 들어오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알바나 배달하기, 쿠팡 파트너즈, 전자책 만들기등 온라인 수익 만들기, 임대소득 만들기, ETF 투자 등 다양한 방법이 있어요. 요즘은 가장 늦은 퇴직이 가장 좋은 노후대비라고 하지만, 그게 말처럼 쉽진 않잖아요.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으니, 조금씩 준비해봐요. 화이팅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건강한 것이 가장 중요하겠죠~운동도 열심히~!^^